티스토리 뷰
목차

주식 투자에서 재무제표 분석은 필수죠. 특히 브랜드 가치와 글로벌 포지셔닝이 중요한 휠라홀딩스처럼 소비자 브랜드에 투자할 땐, 수치로 보는 안정성과 수익성 판단이 중요해요.
📋 목차
이번 글에서는 휠라홀딩스의 최근 실적을 중심으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3가지 재무제표 분석 공식을 알려드릴게요. 유동비율, 영업이익률, ROE만 알아도 투자 판단이 훨씬 쉬워진답니다.
휠라홀딩스 기업 개요

휠라홀딩스는 1911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브랜드 FILA를 중심으로 성장한 한국의 글로벌 패션 기업이에요. 2007년에는 전 세계 휠라 브랜드를 인수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지주사로 도약했죠. 본사는 서울에 있으며, 아쿠쉬네트홀딩스(타이틀리스트, 풋조이 보유) 등을 통해 골프, 스포츠, 라이프스타일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했어요.
2025년 현재 휠라홀딩스는 종합 패션 기업으로 전환을 추진 중이에요. 사명도 ‘미스토(MISTO)’로 변경 예정이며, 글로벌 라이선스 사업을 강화하고 있어요. 또한, 중국·미국·유럽 시장에서 각각 특화된 전략을 펼치며 매출 다각화를 이뤄가고 있어요.
최근에는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면서 자사주 매입과 고배당 전략으로 투자자 신뢰도를 높이고 있답니다. 실적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고, 영업이익 흑자 전환 기대감도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휠라홀딩스는 브랜드력, 수익 구조, 글로벌 포지셔닝 등 여러 방면에서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에요. 이제 본격적으로 재무제표 분석 공식 3가지를 소개할게요!
공식 ① 유동비율로 안정성 확인하기

첫 번째 공식은 ‘유동비율(Current Ratio)’이에요. 이는 기업이 단기 부채를 얼마나 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100% 이상이면 안정적인 편으로 평가돼요.
2024년 말 기준 휠라홀딩스의 유동자산은 약 1조 1,200억 원, 유동부채는 약 7,200억 원이었어요. 계산하면 유동비율은 약 155%로, 단기적인 유동성 문제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어요.
특히 패션업종 특성상 재고 부담이 클 수 있는데, 휠라는 최근 재고 소진 속도를 높이고 있어요. 휠라 USA 구조조정 과정에서 비효율 매장을 줄이고 현금 유입 구조로 전환 중이라는 점도 긍정적이에요.
📌 참고로 유동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자산 활용이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에 150~200% 수준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평가돼요. 휠라의 수치는 꽤 준수한 편이에요.
📊 유동비율 계산 예시
항목 | 금액 | 비고 |
---|---|---|
유동자산 | 1조 1,200억 원 |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포함 |
유동부채 | 7,200억 원 |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등 |
유동비율 | 155% | 우수 |
👉 다음 섹션은 영업이익률로 수익성 보는 방법! 계속해서 연결됩니다
공식 ② 영업이익률로 수익성 체크

수익성은 기업의 진짜 체력을 보여주는 지표예요. 그 중심에 있는 게 바로 영업이익률이죠. 매출에서 비용을 제외하고 실제로 얼마나 벌어들이는지를 확인하는 거예요.
2024년 휠라홀딩스의 영업이익은 약 4,030억 원, 매출은 4조 1,600억 원이에요. 이 수치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영업이익률은 약 9.7%로 나타나요. 제조·패션 업종에서 10%에 가까운 수치는 꽤 양호한 수준이에요.
2025년엔 이 수치가 약 11.7% 수준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요. 휠라 USA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프리미엄 제품군 중심으로 수익성이 강화되기 때문이에요.
💡 수익성이 좋아진다는 건, 향후 배당 여력이나 자사주 매입 여력도 커진다는 의미죠. IR자료에서도 이러한 수익성 개선 전망이 반영돼 있어요.
📈 휠라홀딩스 영업이익률 추이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영업이익률 |
---|---|---|---|
2023 | 4조 0,200억 | 3,500억 | 8.7% |
2024 | 4조 1,600억 | 4,030억 | 9.7% |
2025(E) | 4조 3,754억 | 5,140억 | 11.7% |
공식 ③ ROE로 성장 가능성 분석

세 번째 공식은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이에요. ROE는 주주가 낸 자본으로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투자 수익률을 측정하는 핵심 공식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2024년 휠라홀딩스의 ROE는 약 8.5%였는데요, 2025년에는 약 11.2%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돼요. 이는 영업이익 증가와 순이익 증가, 그리고 자본 대비 수익성 향상에 따른 결과예요.
ROE가 높아질수록 기업의 주주 환원 여력과 재투자 여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성장주로서의 매력도가 높아져요. 이는 장기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판단 지표가 될 수 있어요.
📍 참고로, ROE가 꾸준히 두 자릿수를 유지한다면 기관이나 외국인의 매수세도 붙기 쉬워요. 이는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죠.
재무제표 요약표로 한눈에 보기

지금까지 살펴본 유동비율, 영업이익률, ROE 수치를 한눈에 정리해볼게요. 숫자는 거짓말하지 않죠
지표 | 2024년 | 2025년(E) | 코멘트 |
---|---|---|---|
유동비율 | 155% | 160% | 우수한 유동성 |
영업이익률 | 9.7% | 11.7% | 수익성 개선 기대 |
ROE | 8.5% | 11.2% | 성장성 확보 |
경쟁사와의 지표 비교

휠라홀딩스의 재무 지표를 경쟁사인 F&F홀딩스와 비교해 보면 투자 판단이 더 명확해져요. F&F는 MLB와 디스커버리 브랜드로 국내 위주 사업을 운영 중이죠.
지표 | 휠라홀딩스 | F&F홀딩스 |
---|---|---|
유동비율 | 155% | 138% |
영업이익률 | 9.7% | 12.4% |
ROE | 8.5% | 10.3% |
👉 2025 휠라홀딩스 주가전망 글에서 전체 투자 시나리오와 리스크까지 한 번에 보세요!
FAQ

Q1. 휠라홀딩스의 유동비율이 의미하는 건 뭔가요?
A1. 유동비율은 단기 채무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줘요. 2024년 기준 155%로, 안정적인 유동성을 갖고 있어요.
Q2. 휠라의 영업이익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A2. 2024년 기준 영업이익률은 약 9.7%, 2025년에는 11.7%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돼요.
Q3. ROE가 높은 기업이 왜 좋은가요?
A3. ROE(Return on Equity)는 주주 자본 대비 수익률이에요. ROE가 높을수록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예요.
Q4. 휠라의 ROE는 몇 퍼센트인가요?
A4. 2024년 기준 8.5%, 2025년 예상은 11.2%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요.
Q5. 재무제표에서 가장 먼저 봐야 할 지표는?
A5. 기업의 안전성을 보려면 유동비율, 수익성을 보려면 영업이익률과 ROE를 확인하는 게 좋아요.
Q6. 휠라의 수익성은 개선되고 있나요?
A6. 맞아요. 비용 구조 개선과 프리미엄 제품 확대 덕분에 수익성 지표들이 상승 중이에요.
Q7. F&F와 비교했을 때 휠라가 나은 점은?
A7. 글로벌 브랜드 포트폴리오와 주주환원 전략, 그리고 북미·아시아 등지에서의 확장성이 뛰어나요.
Q8. 휠라 재무제표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8. 휠라홀딩스 공식 IR 페이지에서 공시 자료와 연결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어요.
🔄 2025 휠라홀딩스 주가전망 – 지금 매수해도 될까? 글로 돌아가기